업보(業報)를 녹여내는 동심(童心) -제랄다와 거인

--옛날에 사람을 잡아먹는 거인이 혼자 외로이 살고 있었습니다. 사람 잡아 먹는 거인들이 대부분 그렇듯, 이는 날카롭고 수염은 가시처럼 뾰죽뾰죽, 코는 큼지막했어요. 물론, 기다란 칼도 갖고 있었고요. 괴팍스런 서이에, 먹성은 엄청났답니다. 세상에서 제일 좋아하는 것은요, 아침밥으로 어린아이를 잡아먹는 것이었어요. --

<제랄다와 거인>의 첫 페이지엔 이런 글이 나오며 거기에 어울리는 투박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토미 웅거러 그림의 특징인 대충 그린 듯한 테두리 안에서 거인은 무서운 표정을 짓고 있고, 거인의 뒷 배경은 검게 칠해져 있다.

이런 그림을 보여주며 무서운 듯 눈을 동그랗게 뜨고 ‘어린아이를 잡아먹는 것이었어요.’ 하는 부분을 숨죽여 읽는다. 말하자면 겁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아이들을 둘러보면 표정이 각색인데, 이미 동화책은 책 속의 세상일뿐이란 걸  아는 아이들은 괜히 무서운 척 하기도 하는데, 진짜 공포는 없고 장난기 넘치는 눈빛이다. 우리 딸은 이 부류에 속한다.

만약 우리 아들에게 이런 거인을 만나면 어쩌냐고 묻는다면 뭐라 할지 답이 보인다. 정의에 불타는 훈이 표정을 하고서  ‘내가 로봇으로 변신해서 얍!’ 하고 책 속의 거인에게로 주먹을 날릴 것이다. - 성북 정보도서관에서 상영한 로봇 태권브이를 본 이후로  우리 아이들의 화두는 로봇 태권브이다. 유행은 돌고 돈다더니 내가 초등학교 때 보았던 로봇 태권브이에 내 아이들이 푹 빠졌다. 왠지 나쁘지 않은 느낌이다. -

내가 처음 <제랄다와 거인>을 보고는 좀 당황했었다. 식인 거인이 주인공 이라니, 그것도 어린아이를 잡아먹는 식인 거인이라면 아이를 잃은 부모 가슴에 남은 증오와 한은 어쩌라고 하는 생각에서 영 마음이 편치 않았다. 말하자면 과오가 용서 안 되는 마음이었다.

그런데 아이들은 사람 잡아먹는 거인에 대한 이야기를 너무도 자연스럽게 받아 들인다. 악어 아리게 - < 산을 넘은 아리게> 교원 출판사 - 가 유치원 가방을 메고 악어 유치원에 가는 이야기가 너무 당연하고 거슬리는 것 없듯이 거인이 사람을 잡아먹는 이야기도 단순한 무서움이지 혐오감이 아닌 것이다. 그 이유가 뭘까 생각해 봤더니 경험의 차이에서 오는 이해방법의 차이였다. 거인이 아이를 잡아먹는 것은 늑대가 아기 염소를 잡아먹는 것과 같이 그저 잡아먹는  낱말 뜻 그대로 받아들여 이해하는 방법이다. 반면 어른들은 아이를 잡아먹는다는 낱말 안에 00살인이니 00살인범이니 하는 경험치가 부가되기 때문에 역겨움과 끔찍함, 잔인함 등의 감정이 압도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우리에게 지난날에 대한 잊음의 중요성을 이야기 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원수진 일을 잊지 않고는 결코 거인을 받아들여 줄 수 없음을 어른들에게 알려주고 있는 것 같다.

이 책이 아이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이유 중 하나는 제랄다가 만들어 내는 멋진 요리에 있다. 빨주노초파남보 총 천연색으로 치장한 음식들, 다리를 들고 있는 신데렐라 식 칠면조 구이의 발목에 신겨져 있는 빨간 구두를 보는 재미, ‘거인의 기쁨’이라 불리는 과일과 쿠키로 치장한 아이스크림 케이크! 와, 이런 것들을 먹는 거인에 대한 부러움. 그리고 작은 여자아이인 제랄다가 저런 요리들을 다 해낼 수 있다니 하는 놀라움과 부러움. 이런 다양한 감정들이 이 책이 주는 즐거움이다. 더구나 해학과 암시가 어우러진 맨 마지막장의 그림 -수염 깎은 거인이 어설프게 웃고 있는 표정에서 아이들은 더 이상 괴물 거인이 아닌 사람 거인을 본다. 그 못생긴 거인의 웃음에서 아이들은 거인에 대한 두려움이나 편견 따위를 아예 잊고 만다.

비록 사람을 잡아먹는 업보(業報)를 운명으로 타고 났을지라도 그래서 그간은 아이들을 여럿 잡아먹었더라도 음식을 잘 하는 어린 여자아이 제랄다를 만나 음식에 대한 새로운 경지를 접하고 더 이상 사람을 잡아먹고 싶은 생각이 싹 없어진 거인을 아무렇지도 않은 평범한 사람으로 받아들여 주는 것. 그것이 아이들의 힘이다. 동심(童心)의 용해력(溶解力).

우리 사회가 아니 우리 어른들이 아니 내가 아이들의 이런 용해력을 갖고 있다면 세상이 얼마나 아름다워질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 간의 오랜 다툼이나 나라들 사이의 전쟁은 지나간 것들에 대한 원망에 사로잡혀 발생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제랄다가 아무런 이해관계 없이 쓰러진 거인에게 음식을 대접 했듯이, 아이들이 거인을 용서 했듯이, 서로 위해주고 용서하고  지난 일을 잊어 준다면 얼마나 아름다운 세상이 될까. 물론 거인은 자신 때문에 괴로움을 당한 마을의 아이들에게 사탕을 나눠주며 용서를 구한다. 동그랗고 빨간 막대사탕은 진실하고 뜨거운 반성과 사죄의 상징이다. 그 사탕을 받아든 아이들은 사람 잡아 먹는 거인을 그냥 큰 사람 , 거인으로 받아들여준다.

누구나 살면서 마음에 쌓이는 잊을 수 없는 아픔이 있고 원망이 있다. 그리고 그것들은 어떤 것으로도 녹여지지 않고 한(恨)이 되어 쌓인다. 그런 한(恨)의 되풀이가 불교 용어로 업보(業報)가 되는 게 아닐까 싶다. 사람을 잡아먹어야만 하는 업보(業報)를 타고난 거인.

그 거인의 업보를 벗겨준 것은 다름 아닌 음식보시(飮食布施)였다. 먹을 것을 베푸는 것. 제랄다의 정성어린 음식 맛은 너무도 기가 막혀 사람 잡아먹는 업보를 녹여주었다. 내가 누군가의 음식을 준비할 때 나의 요리가 먹는 사람의 업(嶪)을 소멸시킬 수 있다면 어라나 큰 기쁨일까, 행복일까!  

그래서 이 책을 읽고 난 후엔 아이들과 요리를 해야 한다. 제랄다처럼. 아주 간단한 요리도 아이들은 즐거워한다. ‘너희가 제랄다라고 생각해봐.’라고 말해주면 더 좋다.

아이들과 함께하는 요리 중 감자 삶기가 간단하고도 좋다. 거인이 식은 감자를 먹으며 투덜거리는 장면이 나오는 데 따뜻한 감자요리를 만들어 주자고 연결시켜 말해주면 더 진지해 진다.

칼은 위험하니 피하고 가정용 필러기로 감자를 깎으라고 한다. 너무 큰 감자는 반 썰어서 삶는데 이때 케이크에 따라오는 플라스틱 빵칼을 주고 톱질하듯이 썰어보게 하는 것도 좋다. 물론 박을 타는 흥부처럼 슬근슬근 썰어보자는 말도 잊지 말고.

감자가 잠길 정도의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삶으면 더 맛있다. 감자의 칼륨 성분이 소금의 배설을 돕기 때문에 감자와 소금은 원래 궁합이 잘 맞는다.

젓가락으로 찔러보아 막힘 없이 쑥 들어가면 익은 것인데, 아이들 스스로 찔러보아 익지 않았을 때와 익었을 때의 느낌을 손으로 느끼게 해준다.

잘 익었으면 꺼내서 예쁜 접시에 담아 먹는다. 특별한 장식이 없는 요리이므로 접시가 화려하고 예쁠수록 좋다. 보기 좋은 떡을 만드는 것이다.

먹으면서 ‘이렇게 맛있는 감자를 거인이 먹으면 사람 잡아 먹고 싶은 생각이 싹 가시겠네.’라고 칭찬해주면 기분 짱!

내가 직접 만든 감자 요리와 패스트푸드의 감자 튀김의 차이점과 공통점 찾기 놀이를 하는 것도 재미있다. 논술은 멀리 있지 않다. 이렇게 놀며 먹으며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고 얘기하다 보면 논리력도 저절로 키워지고 발표의 기쁨도 저절로 느끼게 되는 것이다.

아이들 그림동화는 종합예술이다. 그림이면 그림, 내용이면 내용. 뭐 하나 버릴 것이 없다. 더구나 그림과 내용이 상호상승작용을 하여 서로를 더 빛나게 한다. 우리 아이들을 키우면서 섭렵하게 된 그림동화를 통해서 내 인생이 더 풍요로워졌다. ‘그림동화를 읽는 어른들’은 아이들을 위해 읽는 것이 아니라 진정 어른들 자신을 위해 읽는 것이다.

그림동화.  그 보고 속으로의 여행을 떠나보자.

-앞으로 그림동화와 연계되는 체험학습 ( 유아 - 초등학생과 동참을 원하는 그의 부모님) 을 하리 하우스의 체험마당에서 열 계획입니다. 하리 하우스가 가능한 공간이 되면 알려드리겠습니다.


트랙백 주소 :: http://www.harihouse.co.kr/trackback/211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