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솔농원에서 지승,태헌,태완,지윤
 

장서가 삼대가 지나야 진정한 독서가가 나온다.
사람은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책은 가을에만 읽는 게 아니라 늘 읽는 것이다.

오늘 아침 일곱 살인 아들이 나에게 와서 꾸짖듯 하는 말

“ 엄마 책쟁이야? ”

나중에 우리 아이들이 해리포터를 읽으면 나도 다시 읽을 거다.
그래야 말이 통할 테니까.
하리 하우스를 계획하게 된 시발점에 우리 가족의 도서관을 만들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우리 가족의 도서관을 만들어서 여럿이 쓰리라.


책, 백일 때부터 읽혔어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가 눈에 힘이 생겨 색과 형태를 구분하기 시작할 때부터 책을 읽어 주었다. 그 전에 형님 댁에서 책을 물려받아 갖다 놓은 것이 있었는데,  ‘아직 뭘 ~ .’ 하고 놓아두었던 것을 꺼내 읽어 주기 시작했다. 할아버지께서 한 곳을 응시 할 수 있게 된 손녀딸을 TV 앞에 앉혀놓고 TV를 보여주신 일이 계기가 되어 책을 꺼내게 되었다

. 백일 정도 된  딸을 향해

“지윤아, 여기 책 있어. 이제 부턴 책 봐. 알았지?”

라고 말했다. 그 얘긴 할아버지 할머니께 아이들을 위해 책을 읽어 주시라고 부탁드린 거나 마찬가지였다. 다행히 할머니 할아버지께서 아이들에게 책을 잘 읽어 주셨다. 함께 살던 고모와 아빠도 책을 잘 읽어 주셨다. 그 덕에 우리 아이들은 책을 좋아하는 편이다. 특히 딸은 책 읽어달라고 하는 정도가 심해서 졸릴 때 읽어달라고 할 때는 아무리 예쁜 딸일지라도 화가 나는 정도이다. 덕분에 딸은 언어 구사 능력이 좋고 자기 입장을 논리적으로 따져서 얘기를 잘 한다. 물론 개인차가 있어서 아들은 딸 만큼 책에 매달리진 않지만 아직까지 책을 안 봐서 걱정한 적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 애들이 처음 본 책은 주로 의성어 의태어와 사물의 이름이 나온 책들이었다. 두껍고 코팅이 되어있는 책이라 입에 물고 빨아도 찢어지지 않아서 좋았다. 그리고 모두 물려받은 책이라 발행된 지 10년이 넘은 것들이었는데 내용은 어떤 책보다 좋았다.

그 후 아빠가 처음으로 사 준 책이 <달님 안녕> 과 <사과가 쿵!>이다. 그 두 책은 표지는 단단하지만 속지는 앏아서 여러 번 투명테이르로 붙이고는 하였다. 그래도 책을 찢었다고 야단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 땐 일부러 찢은 게 아니었으니까.

다음으로 분유와 함께 미피와 보리스가 주인공인 책 4권이 왔다. 책의 크기가 손바닥 크기고 테두리가 곡선으로 되어 있어서 잘 갖고 놀았다. 오늘 그 네 권을 늦둥이 낳은 집에 갖다 주었다. 매번 받기만 하다 동생 준다고 챙겨가는 아이들 모습을 보니 대견하고 즐거웠다.
책 읽기는 습관이다. 그냥 책이 삶의 일부인 것이다. 생명유지를 위해 밥을 먹듯 책을 읽는 것이다. 그렇게 자연스럽게 책읽는 습관을 몸에 베게 만들어 준 가족들깨 감사드린다.

오늘도 잠자기 전에 <당나귀 실베스터와 요술 조약돌>을 읽었다. 읽으면서 밖에 나갔가가 서로 잊어버리면 얼마나 마음이 아플지 얘기를 나눴다. 그래서 엄마 아빠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꼭 손을 붙들고 다녀야 한다는 말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누워서 <꼬마 철학자 우후> 중 아이스크림 100개에 대한 얘기가 나오는 부분을 읽었다. 우후가 아이스크림 100개를 상상만 해도 기쁜 것처럼 우리 아이들은 우후의 아이스크림 100개에 대한 이야기를 읽는 것으로 아이스크림에 대한 갈증을 달래는 것 같다. 결국 우후가 아이스크림보다 더 중요한 떨어지지 않는 무엇의 소중함을 알았듯 우리 아이들도 자신이 갖고 있는 것이 소중하다는 걸 깨달았으리라.

요즘 사주고 싶은 책이 있어 값을 알아보고 있는 중이다. 조카들이 보던 책을 전집 통째로 들고 올 땐 몰랐는데, 막상 내가 사주려고 하니 책값이  비싸다는 생각이 든다.

여태껏 우리 여기저기서 물려받은 것으로 우리 아이들 정신세계가 구축되었다고 생각하니 새삼 고마운 마음이 든다.
우리 아이들이 인류발전에 공헌하는 인물들이 되어 그 고마움에 답하기 소원한다.


트랙백 주소 :: http://www.harihouse.co.kr/trackback/164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