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사람> <달님 안녕!>과 함께 하는 달맞이
나는 평소에도 송편을 자주 하는 편이다. 쑥과 쌀을 섞어 빻은 가루를 냉동실에 넣어 두었다가 아이들 간식거리가 없을 때 꺼내서 송편을 한다. 송편 소는 주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깨와 설탕을 넣고 하는 깨 송편이다. 내가 어렸을 때는 강낭콩을 통째로 넣고 하는 콩 송편이 싫어서 어떻게 하면 밤이 들은 송편을 골라 먹을까를 고심했는데, 우리 아이들은 밤 송편이 나오면 엄마가 제발 좀 먹어 달라 하고 깨 송편이 나오면 좋다고 먹는다. 깨는 늘 있는 양념이라 송편 소로 넣기가 좋고 또 단 음식을 많이 먹지 못하는 우리 아이들에게 단 맛을 느끼게 해 줄 수 있어서 좋다. 이번 추석에도 송편을 만들었는데, 예나 지금이나 나만의 개성있는 송편 만들기가 아이들 즐거움이다. 그러나 차츰 추석이라고 송편을 만드는 집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얼마 먹지도 않는 것 많이 해서 하느라고 고생하! 고, 안 먹고 남은 것 은 처치곤란이라 고생. 그러니 아예 먹을 만큼 사서 맛있게 먹고 남는 음식 없게 하자는 것이 송편을 사는 이유, 그 합리성을 비난할 이유가 없다.
그래도 추석인데 뭔가 1% 부족하다 싶은 마음을 책으로 채워보는 건 어떨까? 바로 그림책 <달사람> - 토미 웅거러 작, 비룡소 출판- 이다. 보림 출판사의 <달님 안녕!>도 좋다.
콩닥콩닥 절구에 방아를 찧는 토끼도 없고 금도끼로 찍어낼 계수나무도 달엔 없다. 토끼와 계수나무가 없다는 걸 확인하는 일로 인류는 인간 행보의 위대함을 표방했다. 그러나 달 표면에서 휘날리던 인간의 깃발도 달에 대한 흠모의 정마저 날려버리진 못했다. 해마다 추석날 밤이 되면 저녁상이며 조촐한 술상을 정리한 후엔 달님을 찾아 하늘을 본다. 옅으면 옅은 대로, 묽으면 묽은 대로, 구름에 가리면 가린 대로, 크고 환하면 크고 환한 대로 달은 곧 ‘님’이 되어 가슴으로 마주치게 된다.
때론 이론 욕심 다 내면 안 되지 싶을 만큼 많이 읊조리고 때론 한 가지 말만 간절히 전한다. 다분히 비이성적인 달님과의 교감이 헛헛하거나 비루하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달님을 향한 발원의 내용이 이기적이지 않기 때문일 거다. 달님을 바라보며 떠오르는 내용은 ‘내가’보다 ‘누가’에 대한 것들이 더 많고 그래서 ‘내가 어떻게’ 하는 것 보다 ‘누가 어떻게’ 라고 하게 된다. 그리하여 달님을 향한 기도는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 환원되어 돌아온다. 그 사랑으로 추석날 달맞이는 유지되는 것이리라.
비룡소 그림동화 <달사람>은 달에 대한 또 다른 추억을 만들어 준다. 바로 달에 사는 사람을 만나보는 것이다.
투명하고 물렁물렁하고 동그라미 안에 착 구부리고 들어앉아 지구를 내려다보는 달사람. 그는 밝은 불빛아래서 음악을 연주하고 춤추며 노는 지구인들처럼 놀아보고 싶어서 유성 꼬리를 붙들고 지구로 왔다. 그러나 지구 사람과 다른 모습 때문에 철창에 갇히게 되고 우여곡절 끝에 우주선을 타고 다시 달로 돌아가게 된다. 이제 달사람은 지구인들의 무도회를 더 이상 부러워하지 않고 달에 머물러 있다.
<달사람>을 읽은 아이들은 달님을 보며 달사람의 윤곽을 찾을지도 모른다. 저긴 둥그런 얼굴, 저긴 위로 구부린 다리, 저긴 동그란 달 안에 구겨 넣은 팔...
그런 모습의 달사람에겐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한 기도를 바치지 않는다. 다만 반가운 친구를 부르듯 큰 소리로 부르며 인사할 것이다.
“달사람, 안녕! 안녕하세요?”
보림 출판사의 <달님 안녕!>은 푸른 밤하늘과 노란 달 그리고 고양이와 집과 엄마와 아이의 검은 실루엣으로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다. 마치 그림자 연극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하지만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구조를 갖추고 있어 이야기 전개에 따른 긴장과 이완의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좋은 책이다. 물론 책을 읽어주는 사람의 실감나는 표정과 목소리 연기가 뒷받침 되어야 그 감정의 흐름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들에게 <달님 안녕!>을 읽어 줄 때는 목소리 연기하듯 열심히 읽어야 한다.
추석이나 정월 대보름날, 달님을 외경의 눈으로 보고 싶지 않다면 아이와 함께 <달사람>과 <달님 안녕!>을 읽고 친구를 만나는 마음으로 달맞이를 나서도 좋을 일이다. 마당 끝이나 골목길이나, 아니면 베란다 창문을 열고라도......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