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4/04'에 해당되는 글 5건

  1. 2014/04/04 <8년간의 교실 여행>
  2. 2014/04/04 초원의 집 (1)

8년간의 교실 여행

 

처음 발도르프교육에 대한 이야기를 접한 것은 발도르프인형을 통해서였다. 8등신의 바비인형이 아닌 두루뭉실한 헝겊인형이 주는 편안함이 발도르프 교육의 핵심이려니 생각했다. 과장되지 않은 인체, 고착화 되어 있지 않은 표정, 그리고 손으로 만든다는 친밀감. 그런 발도르프인형의 이미지를 생각하며 발도르프에 대한 자료를 대하고 있다. <8년간의 교실여행> 또한 나에게 과장되지 않은 교육, 고착화 되지 않은 교육, 친밀한 교육에 대한 기대를 갖고 읽었고, 그 내용은 나의 기대를 충분히 만족시켜 주었다.

 

핀서 선생님의 고백을 통해 같은 아이들을 8년 내내 맡아 보는 것이 자칫 안일함에 젖게 하지나 않을까 하는 염려가 기우임을 알게 되어 기쁘다. 나날이 변화하는 아이들. 방학을 마치고 새 학년이 되었을 때 완전히 다른 아이들처럼 느껴진다는 핀서 선생님의 고백은 나에겐 일종의 안도이기도 하다. 아이들이 변화하는 것처럼 선생님도 끊임없이 변화하려고 노력하는 교육임을 믿게 된 것은 우리 아이들을 가르칠 선생님에 대한 믿음이기도 해서 기쁘다.

 

8년간의 교실여행을 읽으며 한편 엄마로서 자랑스러움도 느꼈다. 어떤 이론에 근거한 것은 아니었지만, 나는 아이들을 키움에 자연 속에서 키우려했고, 대화로서 키우려 했고, 배움의 실마리를 찾아 스스로 고민하게 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 안도와 자부를 느꼈다. 무엇보다 그런 엄마로서의 노력이 우리 아이들의 인생을 행복하게 하는 바탕이 된다고 생각하니 한없이 기쁜 마음으로 지난 세월을 돌아볼 수 있는 잣대를 갖게 되었다. 그 잣대를 세워놓고 이제 동림에서 새로운 교육을 시작하고자 한다.

 

책 내용을 보고 가장 부러웠던 것은 아이들이 시를 쓴다는 것이다. 핀서 선생님 반 아이들의 시를 읽으며 우리 아이들이 이런 시를 쓸 수 있을까? 이런 단어들을 몸 안에서 이끌어 낼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실제적이고 규정화된 단어가 아니고 추상적이고 함축적인 단어를 끌어내어 시를 쓴다는 것은 그 시를 쓰는 사람의 내부에 추상적이고 함축적인 사고화 경험이 내재되어 있다는 뜻이다. 우리 아이들이 발도르프 교육을 통해 시를 쓸 수 있는 사람들로 컸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품게 되었다. 그런 기대는 <8년간의 교실 여행>이 준 새로운 과제고 희망이다.

 

이제 우리 아이들은 바깥쪽 탐험과 안쪽 탐험을 함께 하고 모퉁이를 돌아 나오는 시기를 겪게 될 것이다. 그런 중요한 시기를 발도르프 교육 안에서 하게 된 것이 너무나 기쁘다.

 

한 가지 궁금한 것은 우리나라에서도 <8년간의 교실 여행>에 소개되는 신화와 역사를 중심으로 공부하는가 하는 것이다. 가르치는 관점이 제도권교육과 다르게 서양의 신화와 역사를 가르친다고 해도, 그 소재 자체가 서양역사에 편중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실제 우리 발도르프 교육에선 어떻게 신화와 역사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지는 지 궁금하고 기대된다.

 

우리 아이들은 영혼이 있는 아이들이다.

-영혼은 죽지 않고 거듭 태어나면서 이승과 저승의 모든 일을 보아 왔으므로, 영혼이 배우지 못한 것이라고는 없다.-

우리 아이들의 영혼이 어떤 경험을 더 축적해 나가게 될까? 아이들의 영혼이 심화되는 과정을 지켜보고 싶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초원의 집>

--푸념해도 소용없어.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으니까.

오늘은 흐려도 내일은 태양이 다시 빛날 수 있으니까.---

 내가 제일 좋아하는 노래 가사 중 한 부분이다. 로라네 가족이 길고, 혹독한 겨울을 이겨낸 뒤에 기쁨에 차서 부른 노래인데, 가사가 너무 마음에 든다. 또 사실적이기도 하다.  푸념해도 소용없다. 그리고 오늘은 해가 지지만 내일은 다시 뜬다. 어려움 끝에는 기쁨이 있듯이  말이다.

 로라네 가족이 부르는 노래가사를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상상속의 음의 그려지고 저절로 콧노래가 나온다. 마치 내가 흥얼거리고 있는 음이 진짜 음과 똑같다는 듯이 말이다.


 로라는 어렸을 때 숲속 외딴 곳에서 아빠가 직접 사냥한 사슴이나 곰 고기를 먹으며 자랐다. 밤이면 로라는 무서움을 이기기 위해 아빠가 켜주는 바이롤린 소리에 맞춰 노래를 불렀다. 그래서인지 로라는 항상 노래와 함께 있는 것 같다. 로라네 아빠는 조용한 곳에서 지내고 싶어 하지만 로라네 엄마는 읍내에서 사는 걸 좋아한다. 그래서 로라는 커서 읍내에 살며 학교에 다녔고, 또 열심히 공부를 해서 교사 자격증을 딸 수도 있었다.


 로라의 언니 메리는 눈이 멀었다. 그것도 몇 주에 걸쳐 서서히 시력이 떨어져 갔다고 한다. 메리는 조용하고 침착하게, 꿋꿋하게 있었다. 나는 그런 메리가 한편으로는 불쌍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다시는 아름다운 이 세상의 모든 것들을 볼 수 없다고 했는데도 조용히 침착하게 있을 수 있을까?  하지만 메리는 잘 견뎌내고 이겨냈다. 어쩌면 자신이 노력하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을 수도 있다.



 메리는 로라와 다르게 얌전하고 예의 바르고 공부도 잘하고 싶어 한다. 사람들이 얼핏 보기에는 메기가 더 좋은 인물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로라도 로라 나름대로 장점이 있다.

 로라는 어울릴 줄 안다. 남자 아이들과도 재미있게, 가리지 않고 논다. 또, 겸손하다. 내가 만약 학교 교사 자격증을 땄다면 동네방네 자랑을 하고 다닐 것이다. 로라처럼 조용히 있진 않을 것이다.


아이다는 로라의 친한 친구이다. 그리고 브라운 목사님의 딸이기도 하다. 메리 파워와 넬리가 명함을 자랑하며 다녀서 로라는 배가 아프다. 그런데 아이다는 ‘브라운 목사님은 선교사고, 명함은 허영이야. 나는 니네가 가져온 명함을 보며 즐기기만 할게.’ 라고 말하였다. 아이다는 너무 착한 친구인거 같다. 나라면 아빠와 엄마한테 명함을 살 돈 좀 달라고 조를텐데... 돈을 달라고 조르지 않는 걸 보면 로라도 착하고 예의 바른 것이다.

 결국은 로라도 명함을 샀다. 명함을 사고 싶은 로라의 속마음을 아셨는지 아빠가 주신 돈으로 샀다. 수레국화가 그려져 있는 예쁜 명함이었다. 명함을 사자마자 한 장을 와일더씨와 교환했는데, 그때 와일더가 로라에게 반하지 않았나 싶다.


 사람들은 각자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김연아는 영어도 잘하고 유연하지만 가장 큰 장점은 피겨스케이팅을 잘 한다는 것이다. 악동뮤지션은 작사도 잘하고 작곡도 잘 하지만 노래를 제일 잘한다. 로라는 친구들이랑 잘 어울릴 줄도 알고 겸손하지만 그의 가장 큰 장점은 글을 잘 쓰는 것이다. 그가 쓴 글이 지금 내가 감상문을 쓰고 있는 <초원의 집>이다. 만약 로라가 글을 쓰지 않았다면, 나와 <초원의 집>을 좋아하는 친구들은 <초원의 집>에 나오는 새로운 경험을 해보지 못했을 것이다.

 내가 크면 로라처럼 남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행복을 줄 수 있는 책을 써야겠다고 다시 한 번 생각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1. 솔바람 2014/04/04 15:1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지윤이가 작년 예스 24 독후감 대회에 냈던 원고입니다. 입상하지 못했지만, 지윤이가 <초원의 집>을 읽고 또 읽어서 우려낸 참 깊은 글이기에 이 글이 좋습니다. 지윤이가 <초원의 집> 주인공인 로라 잉걸스 와일더보다 더 아름다운 인생을 살게 되길 기도합니다.